IT

공유기 내부망에서 DDNS 접속 안될 때(NAT Lookback 미지원) 해결하기 (Synology NAS에 DNS 서버 설치로 해결하기)

변화의 물결1 2024. 4. 12. 00:05

 

 

 만약 내부망에 있는 서버를 DDNS와 연동해서 사용하고 있다면 다른 외부망에서 접속할 때는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같은 내부망에서 도메인(Domain)으로 접속하면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사설 공유기 같은 경우 NAS Loopback을 지원해 주기 때문에 특별하게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통신사 자체적으로 제공해 주는 공유기 경우 이 기능을 제공해주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SK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기능이 되지 않아서 내부망과 외부망으로 별도의 주소로 운영해야 하나 했는데, NAS에 Domain Server를 운영해서 처리가 가능하다고 해서 확인해 보았습니다.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DDNS를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1. DNS Server 설치

 

 메인 계정으로 NAS에 접속합니다. “패키지 센터”로 들어가서 dns로 검색합니다. 그러면 하나의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설치 버튼을 눌러 설치를 진행합니다.

 

 

 

 

어떤 영역에 설치할 것인지 선택을 합니다.

 

 

 

 

설정 내용 확인하고 완료를 누르면 간단하게 설치가 끝납니다.

 

 

 

 

그러면 아이콘의 글자가 설치에서 열기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열기 버튼을 누르면 DNS Server 화면이 나타납니다.

 

 

 

 

2. DNS Server 설정하기

 

위의 내용을 이어서 열기 버튼을 누르면 창이 하나 나타나고 “생성”버튼 눌러 “기본영역”을 선택합니다.

 

 

 

 

 “도메인 이름”에 DDNS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DDNS는 synology에서 제공해 주는 것을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기본 DNS 서버”는 NAS의 내부망에 할당된 주소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레코드 하나가 생성되어 활성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성된 도메인을 선택하고 “편집->리소스 레코드”를 선택합니다.

 

 

 

 

리소스 레코드 편집화면이 나타나고 2개의 유형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다시 “생성->A 유형”을 선택합니다.

 

 

 

 

이름에는 DDNS의 첫 번째 이름을 입력하고, IP주소는 NAS의 내부망에 할당된 주소를 한번 더 입력합니다.

 

 

 

 

 

추가로 레코드에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종료”를 버튼을 누릅니다.

 

 

 

 

 

 추가로 좌측에 있는 “해상도” 메뉴를 선택하고 “해상도 서비스 활성화”를 체크합니다. 그러면 전달자 활성화가 되는데, 현재 DNS Server에서 설정은 자신의 Domain에 대해서 처리를 한 것이고, 현재 DNS Server에는 실제 수많은 Domain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어떤 DNS 서버에 다시 물어볼 것인가를 지정하면 됩니다.

 

 그래서 잘 알려져 있는 DNS 서버를 입력하면 됩니다. 예로 SK DNS 서버와 구글 DNS 서버 주소를 입력했습니다. 그리고 “적용” 버튼을 눌러 완료합니다.

 

 

 

여기까지가 NAS에서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나머지는 공유기에 DNS 서버를 설정하면 됩니다.

 

 

3. 공유기 설정

 

  가지고 있는 개인이나 회사 공유기 설정에 들어가서 DNS 서버 주소를 NAS 내부망 할당 주소로 바꿔 주면 끝이 납니다. 화면은 공유기 제품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4. 접속 확인

 

  커맨드 창에서 nslookup daum.net으로 실행해 보면 먼저 NAS DNS로 먼저 가서 확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 포트를 동일하게 한다면 외부와 내부가 정말 동일하게 접속되지만, 포워딩 주소를 다르게 한다면 외부와 내부 접속 시 도메인은 동일하지만 포트를 다르게 해주어야 하는 상황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내부망에서 접속할 경우

 

  

 

감사합니다.

 

 

 

<참고 사이트>

1. NAT LOOPBACK안될때 나스로 해결합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J9-OKmRgkL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