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개인 출판하고자 할 때 교보문고 POD (Publish On Demand) 서비스 가입해 보기 (2024년 기준)

변화의 물결1 2024. 5. 2. 00:33

 

 

안녕하세요.

 

 라즈베리 파이 관련해서 정리한 내용을 책으로 출간하려고 하다 보니 여러 가지 정보를 찾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POD라는 경제적으로 부담 없이 개인이 출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찾았습니다.

 

 본인이 원고를 적었다면, 전자책과 종이책으로 출간하는 것을 선택을 해야 하는데 저는 종이책을 먼저 선택해 보았습니다. 아직 원고가 마무리되지 않았지만, 제작하기 위한 템플릿도 받고 정보도 미리 알아보고자 저자등록을 먼저 해보았습니다.

 

 bookk(부부크) 도 유사한 서비스를 진행하고 하고 있으면 인쇄비 등 차이가 있으니 한번 다른 분들이 잘 비교한 내용을 한번 보시고 선택해 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교보문고에서 퍼플(PubPle)이라는 서비스로 진행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유튜브 등 현재 시점(2024년)에서 가입을 따라 하려니 되지 않고 자료 링크도 깨어져있어서 순서를 기록해 보았습니다.

 


 

1. 바로출판 POD 서비스로 이동

 

 - 구글에서 검색해서 들어가면  전자책 만드는 ePubPle 혹은 이미지로 된 사이트로 이동해서 시간을 낭비할 수 있으니 파트너 사이트로 이동해서 바로 가입 절차를 따르면 됩니다.

 

 

 

 

- 현재 POD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아래 개인 파트너로 링크를 이동하면 됩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pod/introduce#?tab=personal_partner

 

교보문고 퍼플이라고 검색해서 들어갔다면, "개인 파트너" 탭에서 "파트너 페이지 바로가기"를 눌러도 됩니다.

 

 

 

 

2. 파트너 가입

 

 - 계정이 없기 때문에 "파트너 가입" 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3. 가입유형 선택

 

 - 개인이 법인 이거나 사업자라면 선택을 하면 되고, 그것이 아니라면 개인저자를 고르고 연령 선택을 선택하면 됩니다.

 

 

 

 

4. 약관사항 선택

 

 - 필수 사항들 체크하고 다음으로 이동합니다.

 

 

 

 

5. 회원 가입 완료 하기

 

 - 상단에 주민번호 수집동의 클릭하고, 내용 정보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통장사본(요즘은 모바일에서 가입한 통장 사본 발급해서 이미지로 저장 가능) 사진을 찍어서 파일로 첨부해 줍니다.

 

 

 

 

 

 

6. 승인 대기

 

 - 바로 승인되지 않으며 하루나 이틀 정도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7. 승인 메일 확인

 

 - 하루 정도 있으니 승인 메일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추가적으로 몇 시간 뒤에 상세이용 절차라는 메일을 받았습니다.

 

 

 

 

 아래링크로 이동하며 가입 신청방법, 인쇄용 PDF 제작하는 방법 등 출판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 등을 알려 주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교보문고 POD 검색했을 때는 이 링크가 나오지 않아서 답답했는데, 조금 답답함이 풀리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https://product.kyobobook.co.kr/pod/detail?cstmAnnnNum=1002708

 

 

8. POD 서비스 메인화면

 

 - 현재 진행상황과 수익현황을 볼 수 있습니다.

 

 

 

  

 - 실제적으로 작성 완료한 자료와 표지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POD관리 -> POD 등록" 이동해서 마무리하면 됩니다.

 

 

 

 

이제 모두 부담 없이 1인 작가로 세상에 도움이 되는 지식을 나누어 주는 활동해 보아요.

 

 

감사합니다.

 

 

참고) 위의 사이트에서 가이드로 제공해 주는 "책만들기_가이드" 파일을 첨부하였습니다.

      원고템플릿도 같이 첨부하려고 했지만, 40MB가 되어서 올리지 못했습니다. 가입하신 후 받아보시면 책 크기별 한글파일과 워드파일로 샘플 파일이 들어 있습니다.

 

책만들기_가이드.zip
10.27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