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Raspberry Pi CM4에 OS를 여러 IO보드에 설치해보고 CM4 성능을 확인해보겠습니다. 그냥 balenaEtcher를 이용해서 Flash 하면 되는 것 아니냐고 할 수 있는데, 맞습니다. 그런데 초기에는 bootcode를 올려주어야 하고, IO Board에 따라서 점퍼 설정도 달라지는 것도 있어서 확인 차원에서 적어보았습니다.
1. 작업 환경
- Raspberry Pi 4 CM4 (CM4104016), Mcuzone tiny IO board, Waveshare CM4-IO-BASE-B IO board, Mcuzone IO board, USB 3.0 케이블, USB 양쪽 Type -A, USB C 타입 케이블
2. 설치 방법
2.1) 점퍼 설정
- IO 보드마다 설정하는 방법이 다르고, 특히 Mcuzone 보드는 설명이 없기 때문에 몇 번 연결해 보면서 알 수 있었습니다.
2.1.1) Mcuzone IO Baord
- 점퍼는 BOOT와 USB_SW 각각 연결합니다. 그리고 양쪽이 USB C 타입으로 된 케이블을 PC와 연결하면 장치 드라이버에 나타납니다. OS까지 설치 후 점퍼를 제거하면 됩니다.
2.1.2) Mcuzone tiny IO Baord
- 점퍼는 BOOT는 GND와 연결한 후 양쪽이 USB A 타입으로 된 케이블을 PC와 연결하면 장치 드라이버에 나타나게 됩니다. OS까지 설치 후 점퍼를 제거하면 됩니다.
2.1.3) Waveshare IO Baord
- 점퍼는 없고 BOOT 스위치를 ON으로 하고, USB C 타입 케이블을 PC와 연결하면 장치 드라이버에 나타나게 됩니다. OS 설치 후 스위치를 ON으로 하면 됩니다.
2.2) rpiboot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실행
- 윈도우에서 bootcode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프로그램 다운로드해서 설치합니다.
https://github.com/raspberrypi/usbboot/raw/master/win32/rpiboot_setup.exe
- 각종 드라이버들을 설치됩니다.
- 점퍼 설정한 IO 보드를 PC에 연결하면 제어판에 "BCM2711 Boot"라고 나타납니다.
- 이상 없이 설치되었다면, 설치된 경로로 가서 rpiboot.exe를 실행합니다. 아니면, 윈도우 하단 검색창에 rpiboot를 입력하여 실행합니다.
디폴트로 설치된 경로 : C:\Program Files (x86)\Raspberry Pi
- IO Board가 연결되어 있다면 바로 bootcode.bin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연결 순서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 bootcode가 로드가 완료되면 휴대용 장치라고 해서 장치 드라이버가 나타납니다.
3. Raspberry Pi OS 설치
- 지금부터는 SD 카드에 작업하는 것과 동일하게 하시면 됩니다. 라즈베리 파이 운영체제를 다운로드합니다.
- balenaEtcher에서 보면 Compute Module라고 나타나며 eMMC에 Flash 합니다.
- 이전 eMMC 타입 SD Card 비교 글에서 확인한 micro SD Card(약 20MB/s) 보다 writing 속도가 느리다는 것(약 5MB/s)을 알 수 있습니다.
4. Writing 속도 비교
- Flash 속도를 보면 micro SD Card 보다 느린 것이 아닌가 의심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쓰기 테스트를 해본 결과 CM4 모듈이 2배 정도 빠른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4.1) dd 테스트
4.2) hdparm 테스트
5. 최종 후기
- eMMC 버전은 처음에 OS를 설치해주는 작업이 귀찮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micro SD card 보드 형태보다는 물리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현장 필요에 맞게 RAM, WiFi, eMMC에 맞는 보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일 것입니다.
- 초기 OS 설치 시간이 SD Card 보다 느리지만, 실제로 사용해보면 빠르다는 것을 조금은 체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CM4 보드 수급 등 문제와 CM4 모듈만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지만, IO board를 본인에 필요에 맞게 작게 제작도 가능한 장점도 있어 보입니다. 장단점을 잘 숙지하셔서 사용하셨으면 합니다.
- 참고로, 현재 시점으로 CM4 버전으로 ubuntu 버전을 설치할 경우 IO Board의 USB 포트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서 마우스, 키보드가 연결되지 않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제가 잘 몰라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 가지고 있는 IO Board에서는 동일한 증상 발생했습니다. (아직 상세한 이유 찾지 않고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Embedded > Raspberry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MQTT] CM4 RaspberryPi에 Node-RED 설치하기 (0) | 2023.12.26 |
---|---|
[MQTT] CM4 RaspberryPi에 InfluxDB 설치와 설정하기 (2) | 2023.12.22 |
[MQTT]CM4 RaspberryPi에 Mosquitto 간편하게 설치하고 사용자 추가하기 (2) | 2023.12.21 |
Waveshare IO Board + Raspberry PI CM4에 MQTT broker mosquitto2.0.9 컴파일과 도커(docker) 이미지 생성하기 (2) | 2023.12.18 |
Waveshare IO Board + Raspberry PI CM4에 OS 설치하기 (2)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