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간단하게 트랜지스터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실제적으로 트랜지스터 내부 동작을 보려면 하단의 참조사이트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1. 트랜지스터(Transistor)
1) 정 의
- 1947년 벨 연구소에서 반도체를 이용한 스위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개발
- 트랜지스터는 3개 이상의 단자를 가지고 있는 능동소자
- 전류 증폭과 스위치 기능
- 매우 낮은 베이스 전류를 가지고 컬렉터와 이미터 간의 전류를 조절
- 나중에 전압을 제어용 입력 신호로 하는 소자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가 개발됨
2) 구 조
- 접합형 트랜지스터 구조 2가지
- n형에 가운데 p형을 끼워 넣으면 NPN 접합형 트랜지스터가 된다.
- p형에 제어용 전극 n형을 삽입하면 PNP 트랜지스터가 된다.
PNP형 외우는 방법 중 찌르면(화살표 방향) 피(P)가 난다라고 외우면 PNP와 NPN형을 구분할 수 있을 겁니다.
2. 데이터 시트 이름의 의미
예) “2SA562”
“2” : 2개의 정션(junction)을 가지고 있다. 즉, 2의 접합면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P형과 N형 쪽 하나 N과 P형 쪽 접합면을 말합니다.
- “S” : Semiconductor(반도체)라는 의미
- “A” : PNP 고주파
A : PNP – 고주파용
B : PNP – 저주파용
C : NPN – 고주파용
D : NPN – 저주파용
- 562 : 번호
감사합니다.
<참고 사이트>
1. 접합형 트랜지스터
2. 2SA562_TO-92_PNP datasheet
http://www.secosgmbh.com/datasheet/products/SSMPTransistor/TO-92/2SA562.pdf
3. 트랜지스터의 원리&종류
https://blog.naver.com/dkwltmdgus/220407463171
4. PNP접합과 바이폴라 접합트랜지스터(BJT), 첫 번째 이야기
'Embedded > Electronic Circu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 강의] 재미있게 배우는 전기회로 강의 목차 및 간단한 정리 10회 차 – 1차 회로의 과도 해석 (5) | 2024.12.05 |
---|---|
[강의 링크] 재미있게 배우는 전기회로 강의 목차 및 간단한 정리 9회 차 - 커패시터와 인덕터 (2) | 2024.11.30 |
[강의 링크] 재미있게 배우는 전기회로 강의 목차 및 간단한 정리 1~8회 차 (8) | 2024.11.29 |
PCB Editor 혹은 Or CAD에서 LoadLibrary fails to load with error 126 or error 87 발생할 경우 (10) | 2024.11.21 |
아두이노 나노를 OrCAD 부품 파트로 임포트(IMPORT)하기 & Footprint 등록하기 (6) | 2024.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