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 파이 2

디버깅을 통해 배우는 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 1, 도서 공부하기 4 - 전처리 코드 생성과 objdump 사용

안녕하세요.   라즈베리 파이 커널을 설치하고 나머지 뒷부분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 커널을 빌드하는 과정에서 전처리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이 나옵니다.커널에는 많은 양에 매크로가 소스분석에 걸림돌이 됩니다. 그래서 소스코드를 분석할 때 전처리 코드를 함께 보는 것을 추천하며 추출하는 방법 두 가지를 알려 줍니다.  1. 전처리 코드 생성 1) 전체 전처리 파일 추출  이전 글에서 처럼 root 권한을 얻어서 다음 내용을 진행합니다.  리눅스 커널 소스 디렉터리 안에 Makefile이 있습니다.  대략 420번 줄 KBUILD_CLAGS에 "-save-temps=obj \"를 추가해 주고 build 스크립트를 실행해 주면 전체 소스 파일에 전처리코드가 담긴 *.i, *.s 파일이 생성됩니다. 약 ..

IT/Operation System 2025.02.20

Raspberry pi CM4(Bullseye)에서 Tesseract 4.1.3 설치 및 OCR 테스트

안녕하세요.    Windows 상에서 Tesseract, OpenCV, Qt를 조합해서 하려고 하니 이런저런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기가 어려워서 리눅스 기반인 라즈베리 파이 상에서 테스트해 보았습니다.라즈베리 파이에서 현재 시점에서 최신 버전인 Tesseract 5.1.0을 설치 시도하였으나 아래와 같이 발생하였습니다.   에러로 검색해 보면 FreeBSD 빌드 상에 문제가 있다고 리포팅된 것으로 보였습니다. 향후에 수정된 버전에서 5.x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현재 4.1.3 버전을 사용하였습니다.[package - 130releng-armv6-quarterly][graphics/tesseract] Failed for tesseract-5.1.0 in buildhttps://www.m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