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 파이 9

디버깅을 통해 배우는 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 1, 도서 공부하기 13 - 커널 스레드

안녕하세요.   이전 글에서는 유저공간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봤습니다. 이제 커널 공간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1. 커널 스레드  커널 프로세스는 커널 공간에서만 실행되는 프로세스이며 대부분 커널 스레드 형태로 동작합니다.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에서 데몬과 비슷한 처리를 하는데 데몬과 커널 스레드는 백그라운드 작업을 실행하면서 시스템 메모리, 전원 제어동작 수행합니다. 커널 스레드 특징  커널 공간에서만 실행함  유저 영역과 시스템 콜을 받지 않고 동작하는 것이 데몬과 차이  실행, 휴면 등 모든 동작을 커널에서 직접 제어 관리  대부분 커널 스레드는 시스템이 부팅할 때 생성하고 종료할 때까지 백그라운드로 실행  2. 커널 스레드 종류 1) 커널 스레드 항목 확인  ps..

IT/Linux Kernel 2025.04.02

Raspberry pi CM4(Bullseye) OpenCV에서 gstreamer를 통해 카메라 영상 출력

안녕하세요.   이전 글(아래링크 창고)을 따라 OpenCV 4.6.0을 설치했다면,  Raspberry pi CM4에 OpenCV 4.6.0과 Contrib 모듈 설치해보기안녕하세요.   에지 컴퓨팅이라고 해서 단말 장치에서 가까운 위치에서 컴퓨팅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라즈베리 파이가 단말장치가 되고 여기서 컴퓨팅, 분석까지 하는 것으로 생각해remnant24c1.tistory.com   Bullseyes 32bit에서 libcamerasrc를 사용할 생각으로 gstreamer 최신 버전(1.9.2 혹은 1.20.x)을 다운로드하여서 컴파일할 경우 아래와 같은 컴파일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gstreamer최신 버전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Buster OS 버전 혹은 64bit ..

디버깅을 통해 배우는 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 1, 도서 공부하기 9 - 프로세서란

안녕하세요.   드디어 디버깅의 영역에서 벗어나 프로세스의 영역으로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프로세스 부분도 양이 많아서, 배워야 할 것이 적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책 내용을 천천히 정리해 가는 것으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프로세스란?  리눅스 개발자 입장에서 프로세스는 리눅스 시스템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을 대기하거나 실행하는 실행 흐름을 의미합니다.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자료구조이자 객체를 태스크 디스크립터(task descriptor)라고 부르고 task_struct구조체로 표현합니다. 이 구조체에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 리소스, 프로세스 이름, 실행 시각, 프로세스 아이디(PID), 프로세스 최상단 주소와 같은 속성정보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프로세스의 흐름까..

IT/Linux Kernel 2025.03.12

디버깅을 통해 배우는 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 1, 도서 공부하기 8 - debugsfs 드라이버 코드

안녕하세요.   지금까지 디버깅방법을 알아봤습니다. 그런데 커널 소스를 수정하는 것에 낯설게 느껴지고 수정하다가 부팅이 안되면 어떡하지 약간의 불안감도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저도 코드를 작성할 때 한번 더 확인하고, 기존의 작업했던 내용은 SD Card 내용을 전체 백업을 하였습니다.  사실 커널 코드를 잘못 입력하거나 실수하면 시스템이 오동작할 수 있습니다. 즉 부팅이 안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책에서는 이것을 조금 방지하고자 debugfs 드라이버 코드를 알려줍니다.  1. debugfs 드라이버 원리  전역 변수처럼 변수를 셀에서 설정 값을 주었을 때만 코드가 작동하고, 재부팅하거나 설정값을 초기화하면 원래코드로 동작하는 간단한 원리입니다.   그러나 커널 코드다 보니, 드라이버 파일로 만들어 작..

IT/Linux Kernel 2025.03.09

디버깅을 통해 배우는 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 1, 도서 공부하기 7 - ftrace 사용법 및 분석해 보기

안녕하세요. 이전 글에서 printk()와 dump_stack() 함수를 확인했습니다. 두 함수에는 사용할 때 자주 호출하는 함수에는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주의점이 있었습니다. 이런 부족한 점을 충족하기 위한 커널 디버깅 소프트웨어가 필요했습니다.   1. ftrace 란?  기존의 커널 디버깅 부족함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요구사항(함수 호출 흐름을 소스코드 수정하지 않고 확인하고 싶다, 커널의 세부 실행 정보를 출력 원함, 수십 번 호출해도 성능에 부담 주지 않았으면 함, 커널 로그도 함께 보고자 함)을 충족하는 디버깅 기능의 소프트웨어입니다.  ftrace 특징으로  - 인터럽트, 스케줄링, 커널 타이머 등의 커널 동작 추적  - 코드 수정할 필요 없이 함수 필터 지정한 함수와 호출한 함수 콜 스택 출..

IT/Linux Kernel 2025.03.05

디버깅을 통해 배우는 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 1, 도서 공부하기 6 - printk와 dump_stack 함수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은 printk()와 dump_stack()함수에 대해 학습하고 간단하게 디버깅 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1. printk 함수  이미 C언어를 접해본 분이라면 printf 함수에 대해 잘 알고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함수 끝에 k가 붙은 것처럼 kernel에서 사용하기 위한 함수라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미 커널의 수많은 내부 함수에서도 printk 함수를 이용해서 에러 정보를 커널 로그에 출력하고 있습니다.   아래 내용은 책에서 소개한 porcess.c 파일의 일부 내용입니다. __show_regs 함수가 실행되면 레지스터 내용을 커널 로그에 출력하는 일부 코드입니다.   1) printk 형식  int printk(const char *fmt, ...);..

IT/Linux Kernel 2025.03.01

디버깅을 통해 배우는 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 1, 도서 공부하기 5 - 디버깅과 ftrace 예습

안녕하세요.  이번 장에서는 디버깅하는 방법 예습차원에서 중요성, ftrace 내용을 알려주고 있습니다.내용 잘 학습해 보아요. 1. 디버깅의 중요성 1) 임베디드 및 BSP 개발 도중 만나는 대표적인 문제  - 부팅 도중 커널 크래시 발생 - 인터럽트 핸들러를 설정했는데 인터럽트 핸들러가 호출되지 않음 - 시스템 응답 속도가 매우 느려짐 - 파일 복사가 안됨 - 다른 개발자가 작성한 커널 코드를 만날 가능성이 높음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커널함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서브 시스템을 담당한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상적인 동작할 때 몇 가지 내용 파악이 필요   - 함수가 실행될 때 변경되는 자료구조 - 함수가 실행되는 빈도와 실행 시간 - 실행 중인 코드를 어떤 프로세..

IT/Linux Kernel 2025.02.26

디버깅을 통해 배우는 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 1, 도서 공부하기 4 - 전처리 코드 생성과 objdump 사용

안녕하세요.   라즈베리 파이 커널을 설치하고 나머지 뒷부분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 커널을 빌드하는 과정에서 전처리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이 나옵니다.커널에는 많은 양에 매크로가 소스분석에 걸림돌이 됩니다. 그래서 소스코드를 분석할 때 전처리 코드를 함께 보는 것을 추천하며 추출하는 방법 두 가지를 알려 줍니다.  1. 전처리 코드 생성 1) 전체 전처리 파일 추출  이전 글에서 처럼 root 권한을 얻어서 다음 내용을 진행합니다.  리눅스 커널 소스 디렉터리 안에 Makefile이 있습니다.  대략 420번 줄 KBUILD_CLAGS에 "-save-temps=obj \"를 추가해 주고 build 스크립트를 실행해 주면 전체 소스 파일에 전처리코드가 담긴 *.i, *.s 파일이 생성됩니다. 약 ..

IT/Linux Kernel 2025.02.20

Raspberry pi CM4(Bullseye)에서 Tesseract 4.1.3 설치 및 OCR 테스트

안녕하세요.    Windows 상에서 Tesseract, OpenCV, Qt를 조합해서 하려고 하니 이런저런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기가 어려워서 리눅스 기반인 라즈베리 파이 상에서 테스트해 보았습니다.라즈베리 파이에서 현재 시점에서 최신 버전인 Tesseract 5.1.0을 설치 시도하였으나 아래와 같이 발생하였습니다.   에러로 검색해 보면 FreeBSD 빌드 상에 문제가 있다고 리포팅된 것으로 보였습니다. 향후에 수정된 버전에서 5.x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현재 4.1.3 버전을 사용하였습니다.[package - 130releng-armv6-quarterly][graphics/tesseract] Failed for tesseract-5.1.0 in buildhttps://www.mai..